‘빨갱이’의 탄생(부제: 여순사건과 반공 국가의 형성)을 읽고 김연탁(전북노동연대 회원) 1. 서문 필자가 《빨갱이의 탄생》이라는 책을 접하게 된 이유는 2024년 11월 1일 진행된 공공운수노조전북본부 역사기행에 참여한 것이 계기였다. 당시“여수에서 찾는 항쟁의 기억”이라는 주제로 이순신장군의 발자취 답사와 여순항쟁 기념지 답사로 진행되었다. 아침부터 잔뜩 찌푸린 하늘은 버스가 출발하면서 장대비를 퍼부었다. 2023년 하반기 군산 근대문화유산 답사때에도 비가 많이 내렸는데, […]
아래로부터 49호
세월호 음모론은 어떻게 진실을 무너뜨리는가
세월호 음모론은 어떻게 진실을 무너뜨리는가 – 버스 파업의 기억 문주현(회원, 책방 토닥토닥 지기) 온전히 슬퍼할 수 없었던 2014년 4월, 그리고 지금 2014년 4월 16일. 세월호 참사는 이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결코 잊을 수 없는 아픔이자 슬픔입니다. 동시에, 그 아픔을 ‘온전히’ 슬퍼할 수 없었던 날이기도 합니다. 전북지역의 버스노동자들과 활동가들에게도 마찬가지였습니다. 온 사회가 세월호 참사의 충격에 휩싸였을 […]
전주리싸이클링타운, 10개월 간의 투쟁과 남겨진 과제
전주리싸이클링타운, 10개월 간의 투쟁과 남겨진 과제 손종명(공공운수노조전북본부 조직국장) 2024년 1월 1일, 새해벽두부터 전주리싸이클링타운에서는 11명의 노동자가 해고됐다. 예견되었던 집단해고였고, 그에 맞서 노동조합은 1월 3일 천막농성을 시작으로 원직복직 투쟁에 돌입했다. 투쟁을 시작한지 10개월, 302일이라는 시간이 흘러 마침내 해고자 전원 복직이라는 합의를 이뤄낼 수 있었다. 길고도 혹독한 시간을 거쳐 이뤄낸 합의였다. 전주 곳곳의 아스팔트 바닥 위에서, 시청과 오거리광장의 […]
내란을 넘어 ‘로컬-페미-퀴어 네트워크’를 만들어가자.
윤석열 탄핵광장을 돌아보며 – 내란을 넘어 ‘로컬-페미-퀴어 네트워크’를 만들어가자. 채민 (전북평화와인권연대 상임활동가) 12.3 쿠데타를 일으킨 내란수괴가 파면될 때까지 많은 장면이 떠오르지만 가슴 아픔 참사에 더 힘겨웠던 시간이 유달리 기억난다. 1월 4일, 2025년 첫 번째 <윤석열퇴진 전북도민대회>에선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희생자들을 추모하는 임시 분향소가 열렸다. ‘윤석열퇴진 전북운동본부’ 차원에서 분향소를 담당했던 그날, 여러 시민들이 분향을 했고 그 […]
당신들의 7공화국이 아닌 우리들의 제7공화국을
대선 너머 7공화국 당신들의 7공화국이 아닌 우리들의 제7공화국을 내란의 밤은 무서웠고 치열했다. 상상하지 못했던 일이 벌어지자 숨어 있던 그들만의 더럽고 끈끈한 유착과 이윤관계 연대의 밑바닥이 드러났다. 내란의 소용돌이에서 벗어나기 위한 시민과 민중들의 투쟁은 박근혜 파면 때보다 더욱 힘들게 진행되었다. 그리고 끝내 윤석열을 파면시켰다. 아직도 내란 종식을 위한 길이 험난하지만, 한숨은 돌렸다. 그리고 우리 사회는 단숨에 […]
2025년 정세 전망
2025년 정세 전망 1. 들어가며 2024년은 포스트 팬데믹 이후 성장을 유지하는 미국과 부진한 경제의 나머지 세계로 특징 지워진다. 우리는 2023~2024년에 인플레이션 완화, 미국 경제의 성장세를 전망했다. 또한 우리는 미국의 보호주의와 근린궁핍화 정책, 주요국의 인구 위기 등을 세계 경제의 전망을 어둡게 하는 요인으로 지목했다. 한국에서는 윤석열 정부의 감세, 긴축 정책 때문에 미국과의 비동조화 추세가 더욱 가팔라질 […]